투자

7월 21일 상한가종목 +거래량1000만주 이상 원인 정리

체리피커처럼 2023. 7. 22. 09:15
반응형

그날 상한가 도달한 종목의 상한가도달한 이유가 무엇인지 정리해보기
(개인의견으로 기사 정리한 것으로 실제 급등요인이 아닐수도 있음)

상한가 도달한 종목중 거래량 1000만미만은 제외시킴
 
1.에이프로젠 (007460)
한줄요약 -신규 황반변성 치료 후보물질 개발


 
에이프로젠(007460)이 기존 황반변성 치료제보다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이는 후보물질을 개발했다고 21일 발표하면서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에이프로젠의 주가는 종가 기준 1389원으로 전날보다 29.9% 상승했다. 거래량은 무려 2715만 주에 달해 전날 82만 4448주와 비교하면 32배 이상 급증했다.

이날 에이프로젠 망막질환 중 하나인 황반변성에 있어 새로운 수용체항체 융합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시험 중인 망막질환 치료용 후보물질은 4종류로 이 중 최소 2가지 이상의 물질이 기존 상업화된 치료제보다 우수한 치료효과를 보였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다중 수용체항체 융합체는 최소 2가지 이상의 신호단백질(ligand)에 결합하도록 재조합된 수용체들을 제3의 신호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에 연결해 최소 3종류 이상의 신호단백질의 기능을 동시에 막도록 고안된 에이프로젠의 고유 플랫폼 기술이다.

에이프로젠은 해당 후보물질은 기존에 상용화된 황반변성 치료제인 바이엘의 아일리아가 결합하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 로슈의 바비스모가 결합하는 VEGF 및 엔지오포이에틴-2 뿐만 아니라 제3의 신호단백질까지 제거되도록 고안됐다. 이 물질들은 동물의 망막에서 비정상적인 신생혈관 생성, 혈관의 터짐, 비정상적인 혈관 굴곡 등을 방지하는 부문에서 기존 상업화된 치료제보다 우수 또는 월등한 결과를 보였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황반변성과 당뇨병성 망막 부종 등 망막질환은 암과 더불어 중요 치료제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세계 환자 수는 약 4000만 명에 달한다. 2020년 리서치앤리서치 기준 치료제 시장 규모는 38억 달러이다.

에이프로젠 관계자는 “자사의 물질들이 기존 치료제들보다 적은 투여량과 긴 투여 주기에서도 우수한 치료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해당 치료제 시장의 중요성을 감안해 자사 주력 분야인 면역항암제와 퇴행성관절염치료제 파이프라인들에 더해 망막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https://finance.naver.com/item/news_read.naver?article_id=0004217243&office_id=011&code=007460&page=&sm=title_entity_id.basic 

 

네이버 증권

신규 수용체항체 융합체 발굴기존 치료제 대비 우수 효과 학인주가 29.9%↑·거래량 32배 급증에이프로젠 오송 공장 전경. 사진 제공=에이프로젠[서울경제] 에이프로젠(007460)이 기존 황반변성 치

finance.naver.com

2.유비온(084440)
한줄요약- 네이버 클로바AI 개발 업무협약체결


생성형 AI 기반 학습플랫폼 구축 통한 AIED(AI in Education) 환경조성 목표[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유비온은 네이버클라우드와 ‘하이퍼클로바X’ 기반 초개인화 맞춤형 교육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생성형 AI 기술과 학습플랫폼 구축 역량을 활용하여 보다 선진화된 AI in Education(AIED) 환경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AIED는 AI 기술을 교육에 적용하여 개별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최적화하고,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새로운 교육 방식을 의미한다.

양사는 네이버클라우드의 강남 사옥에서 20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체결식은 유비온의 대표이사 임재환과 네이버클라우드의 영업총괄 상무 임태건 등 주요 이사진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유비온은 이번 협력의 일환으로 ‘AI 튜터’라는 새로운 교육 도구를 선보일 예정이다. AI 튜터는 네이버의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하여, AIChat, 문서 번역 및 요약, 클로바 스튜디오, 클로바 노트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코스모스 학습관리시스템(LMS), 경험관리시스템(EMS), 인터넷기반평가시스템(IBT) 등과 연계하면 혁신적인 학습환경 구성이 가능해진다.

이어 AI 튜터를 시작으로 ‘교육용 AI App Store’를 구축해 플랫폼 중심의 AIED 생태계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개선을 통해 새로운 AI 솔루션을 Store에 추가하여 K-12부터 고등교육, HRD부터 평생학습까지, 고객이 필요로 하는 교육 분야와 방식에 따라 AIED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생각이다.

이 밖에도 클라우드 기반 코스모스 SaaS(Software as a Service) 개발을 통한 AIED 확장도 추진하고 있다. SaaS는 대학뿐만 아니라 기업, 단체, 기관 및 소규모 그룹들도 신청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빠르게 제공되는 것이 강점이다.

임태건 네이버클라우드 영업총괄 상무는 “네이버 클라우드의 AI 기술력과 유비온의 에듀테크 전문성이 만나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양 사가 협력할 할 분야는 무궁무진하다”라고 설명했다.

임재환 유비온 대표는 “유비온은 모든 제품과 서비스영역에서 AIED로의 진입을 선포했다”라며 “고객들이 코스모스 학습플랫폼 안에서 AI튜터, IBT 등 AI기반 솔루션을 활용하여 새로운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만들어가겠다”라고 밝혔다.
https://finance.naver.com/item/news_read.naver?article_id=0005534991&office_id=018&code=084440&page=&sm=title_entity_id.basic 

 

유비온-네이버클라우드, 초개인화 맞춤형 교육서비스 개발 위한 업무 협약체결 : 네이버 증권

생성형 AI 기반 학습플랫폼 구축 통한 AIED(AI in Education) 환경조성 목표[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유비온은 네이버클라우드와 ‘하이퍼클로바X’ 기반 초개인화 맞춤형 교육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

finance.naver.com

 
3.지엘팜텍(204820)
한줄요약- 신테카바이오와 인공지능 AI플랫폼 협력관계 부각


[파이낸셜뉴스] 신테카바이오가 K멜로디 사업 추진 소식에 장중 상한가를 기록한 가운데, 지엘팜텍이 이 회사와 인공지능(AI) 플랫폼을 활용한 협력 관계가 부각되면서 다시금 오름세다.

21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지엘팜텍은 전 거래일 대비 7.06% 오른 895원에 거래되고 있다.

신테카바이오는 민관 협력으로 추진하는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사업(K멜로디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AI 솔루션 가치를 증명할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지엘팜텍은 신테카바이오가 진행한 코로나19 치료제(STB-R011)의 고함량제제 연구 및 공정 개발에 지난 2021년 참여한 바 있다.

당시 신테카바이오는 합성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약물 재창출을 위한 AI 플랫폼 딥매쳐(DeepMatcher)를 활용해 임상 2상 승인을 받은 지엘팜텍의 안구건조증 치료제(GLH8NDE)의 신규 적응증 탐색 및 연구개발에 협력했다.
https://finance.naver.com/item/news_read.naver?article_id=0005045662&office_id=014&code=204840&page=&sm=title_entity_id.basic 

 

[특징주]지엘팜텍, 신테카바이오와 AI활용 연구개발 협력 부각..민관협력 신약개발 가속화 사업

신테카바이오 CI [파이낸셜뉴스] 신테카바이오가 K멜로디 사업 추진 소식에 장중 상한가를 기록한 가운데, 지엘팜텍이 이 회사와 인공지능(AI) 플랫폼을 활용한 협력 관계가 부각되면서 다시금

finance.naver.com

총평

이틀전인가 애플이 자체챗gpt를 개발하겠다는 소식에 잠시 소외되어 있던 ai관련주들이 주목받은 것으로 생각됨.
또한 네이버도 8월경 하이클로바X를 공개하겠다는 소식에 관련주도 상승흐름을 보인 것으로 정리함.
 
에이프로젠같은 경우는 바이오주는 평소 관심이없어서 잘 모르겠지만, 신약개발이나 FDA승인 소식 등에 좋은흐름을 보이고 일시적으로 빠지는 경향이 있는것 같다.

 

2차전지,반도체 주도하는 시황이지만 인공지능관련주가 바톤터치할지도?주목해봐야겠음

반응형